기타/백준

7. 2차원 배열(2)

zoome22 2023. 8. 7. 14:18

https://www.acmicpc.net/step/2

 

2차원 배열 단계

2차원 배열을 활용하여 색종이로 평면을 덮는 문제

www.acmicpc.net

2문제


백준 / 10798번

문제

아직 글을 모르는 영석이가 벽에 걸린 칠판에 자석이 붙어있는 글자들을 붙이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다.

이 장난감에 있는 글자들은 영어 대문자 ‘A’부터 ‘Z’, 영어 소문자 ‘a’부터 ‘z’, 숫자 ‘0’부터 ‘9’이다. 영석이는 칠판에 글자들을 수평으로 일렬로 붙여서 단어를 만든다. 다시 그 아래쪽에 글자들을 붙여서 또 다른 단어를 만든다. 이런 식으로 다섯 개의 단어를 만든다. 아래 그림 1은 영석이가 칠판에 붙여 만든 단어들의 예이다. 

A A B C D D
a f z z 
0 9 1 2 1
a 8 E W g 6
P 5 h 3 k x

<그림 1>

한 줄의 단어는 글자들을 빈칸 없이 연속으로 나열해서 최대 15개의 글자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만들어진 다섯 개의 단어들의 글자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심심해진 영석이는 칠판에 만들어진 다섯 개의 단어를 세로로 읽으려 한다. 세로로 읽을 때, 각 단어의 첫 번째 글자들을 위에서 아래로 세로로 읽는다. 다음에 두 번째 글자들을 세로로 읽는다. 이런 식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한 자리씩 이동 하면서 동일한 자리의 글자들을 세로로 읽어 나간다. 위의 그림 1의 다섯 번째 자리를 보면 두 번째 줄의 다섯 번째 자리의 글자는 없다. 이런 경우처럼 세로로 읽을 때 해당 자리의 글자가 없으면, 읽지 않고 그 다음 글자를 계속 읽는다. 그림 1의 다섯 번째 자리를 세로로 읽으면 D1gk로 읽는다. 

그림 1에서 영석이가 세로로 읽은 순서대로 글자들을 공백 없이 출력하면 다음과 같다:

Aa0aPAf985Bz1EhCz2W3D1gkD6x

칠판에 붙여진 단어들이 주어질 때, 영석이가 세로로 읽은 순서대로 글자들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총 다섯줄의 입력이 주어진다. 각 줄에는 최소 1개, 최대 15개의 글자들이 빈칸 없이 연속으로 주어진다. 주어지는 글자는 영어 대문자 ‘A’부터 ‘Z’, 영어 소문자 ‘a’부터 ‘z’, 숫자 ‘0’부터 ‘9’ 중 하나이다. 각 줄의 시작과 마지막에 빈칸은 없다.

 

출력

영석이가 세로로 읽은 순서대로 글자들을 출력한다. 이때, 글자들을 공백 없이 연속해서 출력한다. 

 

풀이

-Python3

words = []

for i in range(5):
    words.append(input())

for i in range(15):
    for j in range(5):
        try:
            print(words[j][i],end="")
        except:
            pass

공백없이 주어지기 때문에 하나씩 끊어서 원소로 넣을 수는 없었고, 문자열 리스트를 만들어서 넣고, 그 안에서 2차원 배열식으로 접근했다. (string도 따지고 보면 하나의 배열이니까 가능한 부분...)

 

5줄의 입력은 고정이기 때문에, 5번의 for문을 돌며 words라는 리스트에 입력된 단어들을 저장해놓는다. 

그리고 세로로 읽는 글자의 반복은 최대 15이기 때문에 (최소 5~최대 15만큼의 단어 길이라) 출력을 할 때는 for문을 5번 돌면 된다. 5줄 고정이기 때무네 각 열에 대해서 다섯 글자씩 읽어오는 내부 for문으로 선언해줘야 한다. 

 

이때 words배열의[j][i] 값에 접근하여 출력한다. (가로와 세로 인덱스를 바꾼 세로읽기 접근) 

하지만 만약 원소가 없다면 존재하지 않는 인덱스에 접근한 경우이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할 것이다. 이 경우를 처리하기 위하여 try except 문으로 예외처리를 해주면 된다. 만약 부적절한 접근으로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프로그램이 멈추지 않고 끝까지 동작하여 세로읽기를 완수한다. 


백준 / 2563번 (★)

문제

가로,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0인 정사각형 모양의 흰색 도화지가 있다. 이 도화지 위에 가로,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인 정사각형 모양의 검은색 색종이를 색종이의 변과 도화지의 변이 평행하도록 붙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색종이를 한 장 또는 여러 장 붙인 후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흰색 도화지 위에 세 장의 검은색 색종이를 그림과 같은 모양으로 붙였다면 검은색 영역의 넓이는 260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색종이의 수가 주어진다. 이어 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색종이를 붙인 위치가 주어진다. 색종이를 붙인 위치는 두 개의 자연수로 주어지는데 첫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왼쪽 변과 도화지의 왼쪽 변 사이의 거리이고, 두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아래쪽 변과 도화지의 아래쪽 변 사이의 거리이다. 색종이의 수는 100 이하이며, 색종이가 도화지 밖으로 나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출력한다.

 

풀이

-Python3

N, M = map(int, input().split())
A, B = [], []

for row in range(N):
    row = list(map(int, input().split()))
    A.append(row)

for row in range(N):
    row = list(map(int, input().split()))
    B.append(row)

for row in range(N):
    for col in range(M):
        print(A[row][col] + B[row][col], end='')
        print()

 

x,  y의 최대값은 100

y, x 순으로 주어짐

색종이의 크기는 10x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