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기술스터디

[기술스터디] 인터넷, 웹 3.0으로의 진화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web3.html

 

인터넷, 웹 3.0으로의 진화

인터넷, 웹 3.0으로의 진화

www.samsungsds.com

함대훈, 삼성 SDS, 인터넷, 웹 3.0으로의 진화, 2022.05.25

최근 기사는 아니지만 삼성 SDS의 포스트 중 2022년 IT 트렌드라는 글을 읽다가 웹 3.0이 언급되어서 스크랩하게 되었다.

출처 : https://upbitcare.com/academy/education/blockchain/292

웹의 등장 이후로의 변화와 웹 3.0의 배경, 웹 3.0의 특징 등을 소개한다.

 

 

 

웹의 발전과 역사

웹 1.0

 웹 1.0은 1991년 영국의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가 공개한 월드 와이드 웹(www)을 시작으로 2004년까지 이어진 웹을 말한다. 초기의 웹은 '단방향' 소통방식이었다. 즉 대부분의 사용자는 읽는 것만 가능하고 클릭 이외에는 어떤 상호작용도 없던 정적인 기능을 했다.

 

keyward #단방향소통 #읽기 #정적 

 

 

 

웹 2.0

 웹 2.0은 웹 1.0의 가장 큰 특징이었던 단방향 통신을 극복하고 양방향 소통이 가능해진 웹이다. 웹의 이용자들은 웹페이지에 대해 직접 컨텐츠를 '생산' '공유'하며 적극적으로 생성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그 배경에는 일부 전문가들만 사용하던 인터넷의 보급 확산과 디바이스 다양화가 있었다. 특히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어디에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사용이 보편화되었고 기업이 제공하는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네이버∙구글∙페이스북 등 소수의 플랫폼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웹 서비스가 흘러가게 된 것이다. 

 

다만, 웹 2.0 플랫폼의 사업자들은 이용자들에게 질 좋은 웹 환경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대신 사용자들의 데이터와 웹 저작 소유권을 가져갔다. (사용자들의 검색 기록, 사용자 정보, 플랫폼 사용 통계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네이버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면 네이버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등...) 이토록 오랜 기간 쌓여온 데이터는 플랫폼 제공 기업들의 주 자산이 되었고 웹은 대규모 플랫폼들을 중심으로 중앙집중화가 이루어졌다. 

 

keyward #양방향소통 #읽기 #쓰기 #플랫폼 제공 기업 #중앙집중화

 

 

 

웹 3.0

 1998년 처음 월드 와이드 웹(www)을 공개한 팀 버너스리가 제안한 '시멘틱 웹(Sementic Web)'이 웹 3.0의 시작이다. 

*시멘틱 웹 : '의미론적인 웹', 기계가 인간들이 사용하는 자연어를 이해하고 상황과 맥락에 맞는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웹

 

 웹 2.0의 문제는 일부 대규모 플랫폼 제공 기업들이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독식하고 소유권을 가져가는 데 있었다. 이에 대해 현재 '개인의 데이터 소유'를 가능하도록 제안되고 있는 웹의 형태를 웹 3.0이라고 명칭한다. 웹 3.0은 '시멘틱 웹'과 '탈중앙화된 웹', 프로토콜 경제를 근간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포함하여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탈중앙화와 데이터 암호화에 기반한 개인의 데이터 소유가 가능해진 웹 생태계로 정리할 수 있다.

 

keyward #개인의 데이터 소유 #시멘틱 웹 #탈중앙화

 

 

 

웹 3.0

시멘틱 웹

 요컨대 웹 3.0이 가진 시멘틱 웹의 특성은 반복적으로 검색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찾기 위해 고생하던 웹 2.0 시절과 달리, 웹 3.0은 맞춤형으로 사용자의 성향과 검색 목적에 적합한 개인 맞춤형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온톨로지(Ontology) 덕이다.

출처 : 대한민국 외교부

 온톨로지(Ontology)는 메타데이터들의 집합이다. 메타데이터는 '부수적인 정보'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바나나를 보고 '노랑색' '길다' '과일' 등 추출해낼 수 있는 키워드 정보들을 말한다. 이렇듯 원자 단위로 쪼개진 부수적 데이터들의 공통적인 집합을 모으면 컴퓨터는 데이터를 개념적으로 분류 및 연결하고 인간과 같은 지능적 사고가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사용자 개인의 검색 패턴을 분석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이 웹 3.0의 개념적인 특징이다. (실제로 온톨로지 구축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탈중앙화

 웹 2.0의 가장 큰 문제는 대규모 웹 플랫폼들의 중앙집중화였다. 이에 웹 3.0은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탈중앙화'를 제공한다. 탈중앙화를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실현이 가능하다.

출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체인에는 중앙 서버가 없다. 모든 데이터가 모이는 중앙이 존재하지 않고 각 단자(Node)들이 자율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분산처리 기술이다. 블록체인에서 데이터는 데이터가 중앙(중개)기관으로 모이지 않고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노드)들에 의해 관리하기 때문에 중앙관리자가 데이터를 소유할 수 없다. 웹 3.0은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중개 웹 플랫폼들이 데이터를 독식하지 않고 '개인의 데이터 소유'를 가능하게 한다. 

 지금 현재에도 DApp(탈중앙 어플리케이션), Defi(탈중앙 금융), DID(탈중앙 신원증명)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탈중앙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웹 3.0의 문제점?

 2023년 중 웹 2.0의 단점을 개선한 웹 3.0의 등장이 기대를 받고 있는 가운데, 웹 3.0을 비판하는 입장도 적지 않다. 제기되는 문제 중 하나는 '과연 완벽한 탈중앙화가 가능할 것인가?'이다. 탈중앙화를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 중앙 서버가 필요하지 않고 사용자들끼리 P2P(peer-to-peer)로 통신하게 하는 블록체인 기술의 개발 또한, 거대 기업들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웹 3.0이 '새로운 형태의 중앙화'가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존재한다. 

 또한 웹 3.0에는 블록체인, 인공지능, 분산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신기술이 필요하지만 이것들을 대중화하기 위한 사용성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다. 웹 3.0 인프라 소프트웨어 개발사 램퍼(Ramper)의 공동 창업자인 시선 리(Sisun Lee)는 “블록체인을 처음 접한 사람들이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처음 해야하는 것이 ‘지갑 연결(Connect Wallet)’이라면 사용자 유입은 힘들 것이며 지금과 같은 사용자 경험으로는 웹 3.0의 대중화는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