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ech.kakaoenterprise.com/184
MWC 2023 리뷰
시작하며 본 포스팅은 2023년 3월 8일,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기술전략팀에서 진행했던 'MWC 2023 리뷰' 세미나 내용을 요약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이동통신 박람회 MWC 2023이 2월 27일부터 3월 2일까
tech.kakaoenterprise.com
지난 2월 27일부터 3월 2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박람회 MWC 세미나의 요약본을 읽은 기록이다.
MWC(Mobile World Congress)
글로벌 이동통신 사업자 협회 GSMA(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ssociation) 주최로 열리는 행사로, CES, IFA와 더불어 세계 3대 ICT 전시회 중 하나로 손꼽힌다. 2023년도 MWC는 코로나 이후 최대 규모로 2000개가 넘는 기업이 참여했다.
MWC 2023 핵심 키워드
1. 5G X Cloud : 엣지 클라우드
5G 통신의 지향점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5G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연결하는 초연결 통신을 지향한다.
초연결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1) 데이터를 디바이스 근처로 이동시켜 지연속도를 줄이고,
2) 데이터를 분산처리하여 빠르게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엣지 구조가 등장했다.
개념적으로 엣지 컴퓨팅은 전부터 있었으나 실현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구현할 수 없었다. 클라우드 기업이 디바이스에 가까운 위치에 직접 하이퍼스케일의 기지국을 구축할 수 없었기 때문인데, 5G가 등장하면서 5G 통신사와 클라우드 기업의 목적이 맞아떨어지게 되면서 협력이 시작되었다.
- 5G 통신사 : 엣지 구조의 인프라 구축과 네트워크의 클라우드화
- 클라우드 기업 : 디바이스 근처의 5G 기지국
현재 구축되어가고 있는 5G 네트워크 기반 엣지 클라우드의 구조는 위와 같다. 단순히 구조를 엣지 형태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프라를 소프트웨어화하고 운영/관리를 자동화하는 클라우드 기술을 네트워크 서비스에 도입하여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를 만들고 있다.
2. 5G X Cloud :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그럼 이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란 게 뭘까?
보완
5G 엣지 클라우드의 가장 큰 차별점은 네트워크에 컨테이너화를 적용시켜 '네트워크 기능을 추상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기존 기능을 분산 컴퓨팅한다는 것인데,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개념으로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컨테이너로 네트워크 기능을 생성하는 CNF가 있다.
1) 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은 1)네트워크를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과 2)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데이터 플레인(Data plane)으로 분리하는 개념이다. 이를 통해 SDN은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기능을 분리한 두 플레인을 중앙에서 전체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것이다.
- 제어 플레인 :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공
- 데이터 플레인 : 제어 플레인에 의해 제어
2) NFV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는 기존 네트워크 장비를 가상화하여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의 기능을 가상화할 수 있고, 완전히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가상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NFV가 가상화하는 네트워크 기능 : 라우터, 방화벽, VPN, 로드 밸런서 등...
3) CNF (Cloud Native Function)
CNF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작하는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이다. 네트워크 기능을 컨테이너 단위로 패키징하고, NFV가 가상화한 네트워크 기능 요소들이 컨테이너에 실려 배포된다. 간단하게 말해서 NFV를 응용하여 네트워크 기능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화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위와 같은 기술들로 5G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이 가능해진다.
네트워크 슬라이싱 (Network Slicing)
네트워크 자원을 논리적인 단위로 분할하여 가상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기술. 이 단위를 슬라이스라고 부르며, 슬라이스마다 다른 요구 사항에 맞게 구성할 수 있다. 딜레이나 대역폭까지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초저지연 네트워크의 구성이 가능해진다.
3. 5G 표준화 논의 : OpenNet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와는 별개로 MWC에서 테마로 다룬 개방형 네트워크 "Open Net"을 알아본다. OpenNet은 5G 관련 표준화로 논의되고 있는 주제로 Open RAN과 Open Gateway가 합쳐진 개념이다.
1) Open RAN (개방형 무선 접속망)이란?
Open RAN은 네트워크 장비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방형으로 구축하는 기술이다.
- 기지국 장치인 RU와 분산 장치인 DU 연결에 필요한 기술 규격 표준화
- RAN 구간에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기지국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분리
이를 통해 DU의 가상화가 가능해졌다. 기존에는 제조사별로 다른 규격의 RAN을 사용했기 때문에 다른 제조사의 장비를 사용할 수 없었으나 Open RAN이 RAN 규격의 표준화를 제공하면 해당 제한을 없앨 수 있다. 통신사가 원하는대로 망을 구축할 수 있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Open Gateway (Open network API)란?
Open Gateway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에게 통신사 네트워크에 대한 범용 엑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API 프레임워크이다.
Open Gateway는 네트워크의 퀄리티 조절, 장비 로밍 상태 확인 등 기존에 개발자들이 접근할 수 없었던 네트워크 API를 포함한다.Open Gateway에 대한 논의는 초기 단계로 구체화되지는 않았으나 이번 MWC에서 통신사와 클라우드 기업 간에는 Open Gateway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마쳐진 것으로 보였다.
MWC 2023 주요 이슈
- 개방형 네트워크 표준화 : Open RAN, Open Gateway, O-RAN과 CAMARA 중심의 논의
- 망 사용료 이슈 : MWC는 빅테크의 망 사용료 부담에 대해 통신사와 빅테크 어느 쪽의 편도 들지 않았음.
Edge Cloud의 현재, 그리고 미래
엣지 클라우드의 구조가 구체화되었으나 아직 인프라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아직 5G에 기반한 사업들이 등장하기까지는 갈 길이 많이 남아있으나 기업들은 현재 5G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의 클라우드화를 통해 5G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확보하고 있다.
-> 엣지 클라우드 열심히 하고 있으니 구현될 것
'기타 > 기술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트시큐리티 보안동향보고서] 2023.03 - No.162 (2) (0) | 2023.03.28 |
---|---|
[이스트시큐리티 보안동향보고서] 2023.03 - No.162 (1) (0) | 2023.03.28 |
[기술스터디] 2022년 IT Trend 돌아보기 (1) | 2023.01.18 |
[기술스터디] 인터넷, 웹 3.0으로의 진화 (0) | 2023.01.10 |
[기술 스터디] 로우 코드(Low Code)와 노코드(No code) (0) | 2022.11.22 |